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케이드 기기 구조와 작동 원리 (PCB, JAMMA, CRT)

by 낭만건달4077 2025. 10. 1.

아케이드 기기 구조

아케이드 게임은 80~90년대 오락실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존재였습니다. 오늘날에는 레트로 감성을 자극하는 아이템으로 재조명되고 있지만, 그 내부 구조와 작동 원리는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낯설게 느껴집니다. 본 글에서는 아케이드 게임기의 핵심 구성 요소인 PCB 기판, JAMMA 배선 규격, CRT 모니터를 중심으로 아케이드 게임기의 내부 구조와 작동 원리를 쉽고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오락실의 기술이 게임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이해하면 그 시절 우리가 느꼈던 재미의 뒷면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PCB: 아케이드 게임의 두뇌

아케이드 기기의 핵심은 바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입니다. 이 기판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게임' 그 자체를 담고 있는 하드웨어로, 게임 로직, 그래픽, 사운드, 입력/출력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머더보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아케이드 기기는 하나의 PCB를 탑재하고 있으며, 탑재된 기판에 따라 전체 기기의 콘텐츠가 결정됩니다.

PCB에는 CPU(중앙 처리 장치), 그래픽 칩셋, 사운드 칩, 메모리(RAM/ROM) 등 다양한 부품이 집약되어 있으며, 이 모든 부품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실시간으로 게임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과거에는 게임마다 PCB가 달라서 기기를 통째로 교체하거나 내부 기판을 분리해야 했습니다. PCB는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이나 플라스틱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며, 외부 전자기기의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작됩니다.

특히 일본의 NAMCO, SEGA, CAPCOM 등의 유명한 게임 회사는 자사 전용 PCB 포맷을 개발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복제를 방지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CAPCOM의 'CPS' 시리즈 기판은 동일한 플랫폼에서 여러 게임을 운영할 수 있어 아케이드 운영자의 효율성을 높여 주었습니다.

2. JAMMA: 표준화된 배선 규격의 핵심

아케이드 기기에서 또 다른 중요한 기술적 요소는 JAMMA(Japan Amusement Machinery Manufacturers Association) 규격입니다. JAMMA는 1985년 일본에서 제정된 아케이드 기기용 표준 배선 방식으로, 다양한 게임 PCB가 동일한 캐비닛 안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규격입니다.

기존에는 게임마다 배선 방식이 달라 게임을 바꾸려면 기기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JAMMA 규격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 비디오, 오디오, 조작 입력 등 모든 주요 신호를 56핀 커넥터 하나로 통합하여 표준화했습니다. 이로 인해 오락실 사장님들은 기판만 교체하여 다른 게임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JAMMA 배선에는 조이스틱 방향 입력(상하좌우), 버튼 입력(A~C), 동전 투입, 시작 버튼, 스피커 출력, 모니터 영상 출력 등 다양한 신호가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레트로 아케이드 기기나 DIY 게임기 제작자가 JAMMA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러한 단순하고 효율적인 구조 때문입니다.

JAMMA 이후에는 확장 규격인 JAMMA+와 JVS(JAMMA Video Standard) 등이 등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아케이드에서 3D 게임이나 고화질 콘텐츠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CRT 모니터: 아날로그 화면의 감성

아케이드 게임기의 영상 출력 장치는 대부분 CRT(Cathode Ray Tube, 브라운관) 모니터입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 CRT는 빠른 반응 속도, 풍부한 색감, 그리고 당시 게임 그래픽과 가장 잘 어울리는 디스플레이로 각광받았습니다. 아케이드 게임이 LCD나 OLED로 바뀌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이 CRT의 특성 때문입니다.

CRT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 빔이 형광 물질로 코팅된 스크린에 닿아 빛을 내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픽셀 단위가 아닌 선 스캔 방식을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며, 특유의 깜박임과 부드러운 화면 전환, 선명한 색 대비를 제공합니다. 특히 복고풍 픽셀 그래픽에서는 CRT 특유의 번짐 효과와 도트감이 시각적 몰입도를 높여 줍니다.

또한 CRT는 입력 지연이 거의 없어 격투 게임이나 리듬 게임처럼 정밀한 반응 속도가 중요한 아케이드 게임에 적합했습니다. 하지만 크기와 무게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다는 단점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 LCD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마니아가 CRT 기반 아케이드 기기를 수집하거나 복원하고 있습니다.

결론: 아케이드 게임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는 PCB, JAMMA, CRT라는 세 가지 요소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CB는 게임 데이터를 처리하는 두뇌, JAMMA는 모든 것을 연결하는 신경망, CRT는 감성을 자극하는 디스플레이입니다. 이 세 요소가 조화를 이루면서 오락실에서 즐기던 게임들이 구현되는 것이죠. 단순한 향수 그 이상으로 이 기술들은 오늘날까지 레트로 게임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아케이드 기기의 내부를 들여다보며 그 기술의 아름다움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아케이드 기기 구조